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HTTP
    이론공부 2023. 6. 18. 16:13
    HTTP:HyperText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며
    응답과 요청을 주고 받고 있는 서버와 브라우저사이에서 HTML로 작성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이다(통신규약)

    HTTP 프로토콜의 특징

    서버는 응답 메시지를 반환한 후에 초기 상태로 돌아갑니다. 이 때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즉, HTTP 프로토콜은 상태가 없는 프로토콜 입니다. 여기서 상태가 없다라는 말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각각의 데이터 요청이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가 된다는 말이고, 이전 데이터 요청과 다음 데이터 요청이 서로 관련이 없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커피먹으러 가자고 서버에게 요청해서 "좋아!" 라는 응답을 잘 받아왔지만 그 다음번에 "커피 먹으러 오늘 가자!"라고 요청을 한다면 서버는 이 전에 "커피 먹으러 갈래?" 라는 요청을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응답을 줄 수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서버는 세션과 같은 별도의 추가 정보를 관리하지 않아도 되고, 다수의 요청 처리 및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성능 상의 이점이 생깁니다. 

     

    HTTP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TCP를 사용하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IP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두 계층을 합쳐서 TCP/IP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TCP/IP에서는 IP주소를 사용해서 통신할 컴퓨터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포트 번호를 사용해서 그 컴퓨터의 어떤 프로그램과 통신할지를 결정합니다. HTTP에서는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HTTP 요청(Request)

    • 시작 라인
      • HTTP 메서드 (GET, POST 등)
      • 요청 엔드포인트 ('/board')
      • HTTP 버전
    • 헤더
      • Host : 요청을 보내는 브라우저의 주소
      • Content-Type : 응답하는 메시지의 내용이 어떤 종류인지

     

    HTTP 응답(Response)

    • 시작 라인
      • HTTP 버전
      • HTTP 상태 코드 (200, 400, 500 등)
    • 헤더
      • Content-Type : 응답하는 메시지의 내용이 어떤 종류인지

    상태코드: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HTTP 상태 코드 - HTTP | MDN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 응답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 성공적인 응답, 리다이렉트, 클라이언트 에러, 그리고

    developer.mozilla.org

     

    참고자료(출처)

    HTTP 통신 :: LeeHyojin Blog (tistory.com)

    '이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Next.JS)? Node.JS(Nest.JS)?  (0) 2023.07.12
    CORS & CORS에러  (0) 2023.06.18
    객체지향프로그램(OOP)  (0) 2023.04.25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