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요구사항 확인(운영체제 및 모델링)
    정보처리기사 실기/요구사항 확인 2023. 3. 27. 22:45

    📖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 하드웨어랑 소프트웨어 리소스를 관리하고 공통서비스 제공

    종류 저작권 비용 및 라이선스  주요 용도
    Windows Microsoft 유상 개인용 Pc,Embedded System
    UNIX IMB,HP,SUN(Solaris) 유상 대용량 처리 안정성 서버,
    Workstation
    Linux Linus Torvalds 무료,GNU 중대 규모 서버
    IOS Apple 번들 스마트폰
    Android Google 리눅스,무료,GNU 스마트폰

     

    GNU :(유닉스) 무료로 개발 배포하고 있는 유닉스 호환 운영 체제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이어야 하며 사용 복사 수정 재분배에 대한 제한이 있어서는 안된다.)
    GNU GPL
    (공용사용권)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만든 것
    카피래프트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며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공유
    번들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장치을 하나로 묶어 구입하는것 (ex Iphone)
    Embedded
    (내장시스템 장치)
    :내장 시스템 장치
    NAS
    (망 부착 저장 장치)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 및 공유를 하기 위해  여러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네트워크로 구성된 대용량 저장 장치
    Workstation :PC보다 고성능 컴퓨터 

    📖 네트워크(NetWork):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반 인프라

    - 프로토콜 3요소 :정보 전달 규칙 (문,이밍,의미) 구,타,의미로 외워보자!

    허브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
    스위칭 허브 :더미허브(느리다)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 한다. 
    FireWall(방화벽) : 내부의 네트워크 보호 외부에서 유입되는 불법적인 트래픽 막고 인증된 트래픽만 허용하는 방어 대책
    백본망 : 분산된 통신장치들을 통합 하기 위한 최상위 통신 네트워크 
    논리적 장치 : 가공물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것 
    물리적 장치 : 하드웨어 장치 실제 장비 

    📖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중재자로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다.

     

    일반 사용자-> 질의어->질의어 처리기->(DML컴파일러->런타임데이터베이스 처리기->저장 데이터 관리자)

    응용프로그래머->응용프로그램/DML-> (DML컴파일러->런타임데이터베이스 처리기->저장 데이터 관리자)  :데이터 사전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 스키마/DDL -> DDL 컴파일러->(런타임데이터베이스 처리기->저장 데이터 관리자)

     

    질의어 처리기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요구를 해석 처리 역할
    DML컴파일러 DML로 작성된 데이터 처리(삽입 삭제 수정 검색)분석하여  런타임 데이터베이스가 이해되도록 해석 요소
    DDL 컴파일러 DDL로 명세된 정의 저장
    트랜잭션 관리자 사용자의 접근 권한, 데이터베이스 무결성,제약조건 위반 여부를 확인하고 회복이나 병행 수행과 관련된 작업도 담당하는 요소
    런타임 데이터베이스 처리기 저장 데이터 관리자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 실행하는 요소이다. 
    저장 데이터 관리자 데이터 사전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접근하는 요소

    📖 DBMS 유형 및 특징

    RDBMS
    (관계형데이터베이스)
    :대량의 데이터를 관계형 모델에 따라 구조화해 저장 및 관리하고 복잡한 질의 연산을 요구 할 수 있게 한다.
    (금융 거래  기업 업무 이용)
    RDBMS
    (문제점)
    :복잡한 정보 구조의 모델링이 어려워 비정형 복합 정보를 표현하기가 어렵다.

     

    OODBMS
    (객체지향형)
    :객체로서의 모델링과 데이터 생성을 지원하는 DBMS, 비정형 복합 정보의 모델링이 가능 객체지향 이론이 부각되고 멀티 미디어 데이터가 늘어남에 따라 주목 받고 있다. 
    :(문제점) 표준 부족,백업,복구기능이 관계형데이터베이스보다 부족
    ORDBMS
    (객체 관계형)
    :관계형 체계에서 새로운 객체 저장 능력을 추가 하고 있는 체계이며 관계형과 객체지향형의 장점을 살린 체계이다.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SoftWare Life Cycle)
    :제품을 계획할 때부터 시작하여 운용/유지 부수에 이르기 까지  전 과정을  단계별로 나눈 것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 : 순차적으로 한단계식 진행해 나가는 모델 (역으로 X)

    장점 단점
    - 프로세스가 단순하여 초보자도 쉽게 가능
    - 단계별 작업 진행으로 진척관리가 쉽다.
    - 반드시 각 단계마다 성과물이 출력

    - 되돌아가서 작업을 변경하는데 곤란한 경우가 많다.
    - 초반에 지나치게 강조하면 코딩이 지연될 수 있다. 
    -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 시키는 결과는 최종적인
      성과물이 나와야 판명된다.

    ✏️프로로타입(Prototype Model) : 견본품,시제품을 신속히 개발하여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개선하고 보안해가는 모델

    장점 단점

    -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정확한 요구 도출이 가능하다.
    - 빠르게 모형을 개발하여 피드백을 통해 시스템 개선에 효율적이다.

    - 시제품을 완성품으로 오해 가능한다.
    - 시제품 개발에 오랜시간을 걸린 경우 시간이 낭비될 수 있다.

    ✏️나선형(Spiral Model) : 개발시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완벽한 시스템으로 개발해 나가는 모델 

    - 계획 수립 -> 위험분석-> 개발과 검증 -> 고객평가

    장점 단점

    - 위험성이 큰 프로젝트 수행 가능 
    - 변경되는 요구사항에 대해 적용 가능
    - 최종 완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와 품질이 높다.

    - 프로젝트 기간이 오래 걸린다. 
    - 반복 단계가 길어질수록 프로젝트 관리가 어렵다.

    📖 반복 점증적 모델 (Iterative & Incremental Model)
    : 요구사항이나 제품의 일부분만을 개발/반복하여 최종 사용자 요구사항에 부합 하는 시스템을 완성해 가는 모델

    ✏️증분형 모델 

    : 사용자의 요구사항의 일부분을 하나씩 구현/반복한 후 결합 하여 최종제품을 완성 방법론 

     

    ✏️진화형 모델 

    :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면서 추가 요구사항이나 개선사항을 지속적으로 발전 시켜 최종 완성품을 개발하는 방법론  

     

    📖 RAD(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모델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오 강력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CASE 도구)를 이용하여 매우 짧은 주기(60~90일)로 개발을 진행하는 순차적 모델

                      JRP                            ->                            JAD                            ->          Cut Over
    (Joint RequireMent Planning)          (Joint Application Development)            

    데이터,프로세스 모델링                                  프로토타입(개발/수정/보안)                    현업 부서로 이전

     

    장점 단점
    - 프로젝트 범위를 명확히 설정한 경우 신속한 개발이 가능 - 위험성이 높거나 대규모 프로젝트에는 부적합하다.

     

    📖 애자일  모델
    : 요구사항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면서 개발하는 모델

    -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할 수 있도록 일정한 주기를 반복하면서 낭비 없게 만들기 위한 방법론

    • 숙달된 개발자 필요
    •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
    • 급변하는 요구사항에 적합
    • 폭포수 모델은 계획 중심 

     

Designed by Tistory.